목록네트워크 (11)
최코딩의 개발

14-1 Mime의 구조 - 구조는 이러하다 알고있자. 시스템의 구조 - 메일 내용을 읽고 편집하는 일을 담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반 용어로 사용자 에이전트 즉 UA이다. SMTP 프로토콜 - 메일을 전송할때 쓰는 프로토콜이다. - 이것은 메일을 전송하는 SMTP 클라이언트와 메일을 수신하는 SMTP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규칙을 다루며 명령과 응답의 교환 과정을 통해 메일을 전달 - SMTP 클라이언트는 메일 수신자로 지정한 하나 이상의 SMTP 서버에 메일을 전달 명령과 응답 - 도메인이 아닌 ip로 바뀌므로 25가 된다. - 처음 연결이 됐으면 220번이 온다. - 그 후 helo를 보내 송신자의 호스트를 이름을 전송하여 서버에 자신의 신분을 알린다. - 250번을 받으면 실질적으로 전..

13-1 토큰과 동기점 - 논리적으로 큰 파일을 작은 단위로 나누는 과정 = 동기점을 부여하는 것 - 즉 큰 파일을 물리적으로 나누지 않고 파일을 전송하는 중간중간에 동기점을 부여함으로써 송수신 프로세스가 해당 위치 까지는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것에 합의할 수 있음 재동기 기능 - 동기점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특정 지점에서 복구할 수 있도록 통신 양단 간의 합의로 지정 - 즉 세션 계층의 상위 계층에는 적절한 구간으로 나뉜 지점에 동기점을 부여하고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지점으로 돌아가 복구하는 기능이 구현되어야 함 SSO(single sign one) - 가장 기본적인 인증 시스템 - 모든 인증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라는 목적으로 개발 - 시스템이 몇 대라도 한 시스템의 인증에 성공하면 다른 시스템의..

12-1 연결 설정 - 먼저 아래와 같은 개념을 일단 기억하자. - ACK는 Acknowledgment Number 필드가 유효한지를 나타냄, 데이터 전송의 확인을 나타냅니다. - SYN는 연결 설정 요구를 의미하는 플래그 비트이므로 가상 회선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 클라이언트는 서버한테 연결을 신청하겠다 라는 의미 - Sequence Number(순서 번호), 즉 각 세그먼트에는 이 순서 번호가 할당되어 어떤 순서로 데이터를 재조립해야 하는지를 표시합니다. 순서 번호는 바이트 단위로 표시되며, 세그먼트의 시작 지점을 가리키는 값입니다. - Acknowledgement Number(응답 번호) 즉 CP 세그먼트를 수신한 측이 다음에 받기를 기대하는 데이터의 순서 번호를 나타냅니다. - TCP를 ..

11-1 설계시 고려해야할 사항 - TCP/IP 환경에서 사용하는 호스트의 IP주소와 포트번호의 조합은 네트워크 계층과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표현 방식의 하나 - 전송 계층의 주소를 보통 TSAP라고 한다. 😊(6)멑티플렉싱 - 여러 신호를 하나의 통로를 통해 전송하거나 처리하는 기술이나 방법을 가리킵니다. - 상방향하고 하방향 차이점은 상방향은 여러개를 통해서 하나로 오는거고 다시말해서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한다. 예로 들면 여러 사람들이 영화를 본다. 다시말해서 공유해서 영화를 보는거고 하방향은 하나에서 여러개를 보내는 것이고 축구 중계를 예로 들면 화면과 음향을 따로 따로 해서 이것을 합쳐서 위성에 보내는데 이것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 것이다. 연결 설정 - 간단하다. 전화를 걸기, 전화 수락..

10-1 IPv6 프로토콜 - 주소공간이 32비트에서 128비트로 확장이 됨 - 흐름 제어 기능 지원 즉 하나의 연속 스트림으로 전송해야 하는 연관 패킷의 전송 기능을 지웜함으로써 실시간 기능이 필요한 멀티미디어 응용 환경을 수용할 수 있음 - 왼쪽이 IPv6 이고 오른쪽이 4이다. - 왼쪽 source 128비트 오른쪽 source 32비트 😊(3)4와 6의 차이점 - Hop Limit와 Time to Live 같은 기능이다. 이것은 송신호스트가 수신호스트로 패킷을 보낼때 4번 정도 간다고 치면 이것의 6을 주면 총 6번 안에 이동하라 이것이다. 만약에 0번이 됐는데 목적지를 못찾으면 네트워크가 혼잡하고 많이 밀린다고 생각해서 네트워크가 그 패킷을 삭제해서 타임아웃 걸려서 다시 A에서 B로 재전송을 한..

9-1 슬라이딩 윈도우 프로토콜 - 두 호스트 간의 프레임 전송을 위한 일반적인 통신 프로토콜 - 오류제어와 흐름 제어 기능을 함께 지원 순서 번호 - 정보 프레임의 내용에는 프레임별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순서 번호라는 일려번호가 부여 - 즉 송신호스트가 수신호스트에 프레임에 번호를 붙여서 차곡차곡 보내는것 윈도우 크기 이렇게 표현할 수 있다. 연속형 전송 - 정지 대기 방식의 프로토콜은 송신 윈도우의 크기가 1인 특수한 경우 - 즉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 사이의 물리적 거리 차로 인해 프레임의 전송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는 환경에서 윈도우 크기가 1이면 전송 효율이 극단적으로 떨어짐... - 그래서 윈도우의 크기를 늘려 ACK 프레임을 받지 않고도 여러 정보 프레임을 연속으로 전송할 수 있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