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리눅스 (14)
최코딩의 개발

개요: 리눅스의 마지막 이야기! find 파일 검색 명령어, 가장 유용하면서 복잡한 명령어 중 하나이다. 다음과 같이 name을 통해 전체파일 기준으로 .c로 끝나는 파일들이 나온다. 전체 파일에서 c로 끝나는 것을 찾아주는건데 허가거부가 떠서 리다이렉션을 통해 진행하면 된다. 알거라고 믿는다. 위에 . 뺀거랑 비슷하지만 현재 디렉토리 기준으로 찾아간다. exec가 실행 된다는 의미이다. 뒤에 {} \; 는 문법 touch 를 통해 공백 파일을 만들었고 다음과 같이 rm -f 를 통해 강제로 지워봤다. 다음과 같이 검사식 type 파일유형이다. /dev 장소에서 타입이 블록장치 인것을 찾아준것이다. work 디렉터리에서 디렉터인 애들을 찾아준거다 이때 prog와 grep을 찾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패턴을..

개요: 필자가 리눅스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head 기본 10줄을 출력하며 다음 아래와 같이 줄을 변경할 수 있다. head의 2개 파일명을 썻을시 다음과 같다. 공백 파일이다. touch 앞에서 두줄 표준입력을 해줬다. tail은 다음과 같다. cut 지정한 파일 내용에 지정한 칼럼 필드만을 표준 출력 b: 바이트 c: 문자 f: 필드 hello 내용에서 파일크기하고 이름만 출력한 것이다. 저 뜻은 /etc/passwd 파일에서 : 기준으로 1번째와 5번를 출력하라는 의미이다. 이렇게 응용할 수 있다. who 로그인한 사용자와 사용자수 나열 로그인 후 쉰 시간 표기이다 필드의 제목 표시이다 write 명령 전달 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를 '+', '-' 로 표시 +가 받을 수 있다. ..

개요: 필자가 리눅스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리다이렉션 리다이렉션은 표준출력 방향을 화면에서 파일로 변경하는 기술이다. 위와 같이 >기호 써서 ls -al 의 자료를 list.file로 옮겼다. 표준출력 리다이렉션의 일반적특징 - 명령어 수행 중 입력을 요구하지 않고(ex) ls) - 수행결과를 반드시 터미널 화면에 출력하는 경우에만 유용 - 지정한 파일이 존재하면 덮어씀 덮어쓰지 않게 하는법 1. set -o noclobber 옵션 해제는 + 2. >> 이중 기호를 써 파일 끝에 추가한다. 표준입력 리다이렉션의 일반적특징 - 수행 시 표준입력을 요구하는 명령어일 경우, 표준입력을 키보드에서 파일로 변경 < 를 쓴다. 이렇게 하면 정렬된상태로 messg의 내용이 다른쪽 터미널에 뜬다. 장치파일 ..

개요: 필자가 학교에서 리눅스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hello1를 심벌릭링크로 하여 hlnk를 hello2로 복사했다. cp -s 를 통해 hello4가 hello1의 내용을 받았고 hlnk를 가리킨다. cp -a의 관한 내용 트리 자체를 복사했다. 파일 복사의 용어 정리다. du를 하면 디스크 사용공간의 정보가 나온다. 1024바이트 단위로 출력한다. 다음과 같이 뜬다. sh는 단위로 뜨는거다. sort를 쓰면 파일 내용이 정렬된것을 볼 수 있다. 다음과 같이 sort -r을 통해 역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sort에 파일 미지정시 표준입력으로 집적 입력하여 정렬하는 방식이 있다. 입력을 다했으면 Ctrl + d 하면 다음과 같이 정렬해서 뜬다. cat을 통해서도 입력하고 엔터치..

개요: 필자가 리눅스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pr을 하면 pr 단어를 찾아준다. n과N을 입력하면 다음위치나 뒤로 간다. %는 전체 s는 문자열 g는 행전체 적용을 뜻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작성하면 PR_로 바뀐다. 1,10까지 s타입으로 ;가 끝인 문자를 ;;로 바꾸겠다는 의미이다. \

개요: 필자가 리눅스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vi로 들어가 gedit hello.c &를 통해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vi를 통해 들어가봤다. tab이 8글자 차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과 같이 I를 통해 입력을 하였다. 다음과 같이 mv 명령어를 통해 helo.c로 내용 복사가 가능하다. 즉 이름 변경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캡처하기 번거로움이 있어 글로 작성했습니다. j: 밑으로 이동, k: 위로 이동, l: 오른쪽으로 이동, h: 왼쪽으로 이동 w: 단어 앞으로 이동, b: 단어 뒤로 이동 ^: 문장 줄 처음으로 이동, &: 문장 줄 뒤로 이동 H: 맨위로 이동, M: 중간 이동, L,G: 맨아래로 이동 :10 하면 10번째로 이동함 x: 하나씩 문자 삭제, dw: 단어 삭제 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