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지합니다
이 게시글은 메인 페이지에 항상 고정되어 표시됩니다.
개요안녕하세요.이번 시간에는 인덱스(Index) 에 대해 확실히 정복하고자 한다.단순히 “검색을 빠르게 해주는 기능”으로만 알고 있었다면, 오늘을 기점으로 인덱스의 구조, 동작 원리, 선택 기준까지 명확히 이해하게 될 것이다. 핵심은 “왜 이 인덱스를 써야 하는가”를 스스로 설명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달하는 것이다.그럼 지금부터 인덱스의 세계로 함께 들어가보자. https://balhae.tistory.com/335 [9oormthon 제주 버스 알림콜] 리메이크 및 조회 성능 최적화 하기https://balhae.tistory.com/219 🍊구름톤(9oormthon) 11기 대상 후기📝 지원 동기와 과정대학교 4학년, 졸업을 앞둔 시점에서 문득 돌아보니 지금까지 만든 프로젝트들이 너무 의미없게 느..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https://balhae.tistory.com/156 섹션1 영속성 관리 - 내부 동작 방식최코딩의 개발 섹션1 영속성 관리 - 내부 동작 방식 본문 JPA/JPA 기본 핵심 원리 섹션1 영속성 관리 - 내부 동작 방식 seung_ho_choi.s 2024. 1. 25. 23:50balhae.tistory.com 🔍 N+1 문제란?N+1 문제는 1번의 쿼리로 N개의 엔티티를 조회한 후, 각 엔티티의 연관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추가로 N번의 쿼리가 실행되는 문제입니다.예를 들어, 회원 100명을 조회한 후 각 회원의 게시글을 확인하려고 할 때:1번: 회원 100명 조회N번: 각 회원별 게시글 조회 (100번)총 101번의 쿼리 실행!📊 엔티티 관계 설정먼저 1:N 관계의 엔티티를 정의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