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클론코딩 (7)
최코딩의 개발

개요: 필자가 공부하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document라는 object를 통해 html 코드를 불러올 수 있다. title은 현재 승호인데 gg 하면 일시적으로 title 변경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document.body , document.head 등 을 통해 불러올 수 있다. 승호얌 id를 title 지정한 부분을 getElementById를 통해 위와 같이 불러올 수 있다. const title = document.getElementById("title"); console.log(title); js에서도 이렇게 불러올 수 있다.! console.dir(title); h1 태그에서 가져올 수 있는것들이다. 즉 dir은 요소 내부를 불러오는것이다. title.innerText="d"; 이때 js..

개요: 필자가 공부하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DOCTYPE html> 승호 html 파일에 js를 넣고 싶으면 문법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alert("hi"); 해당 js 파일 소스는 다음과 같다. 결과는 이렇다! 콘솔로도 제어가 가능하다! 문자로 할때는 ""붙여서 한다! string으로 인식이 된다. console.log(1234156) console.log를 하면 콘솔에 log 또는 print하는 일을 한다. const a=5; const b=2; console.log(a%b); console.log(a+b); console.log(a*b); const 변수를 써서 다음과 같이 지정이 된다. const myName="승호"; let myName1="승호2"; 이때 let 이라는 변수도 쓸 ..

개요: 필자가 클론코딩을 공부하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position 레이아웃보다는 위치를 아주 조금 위로 오른쪽으로 옮기고 싶을 때 사용 fixed div { color:blue; width:300px; height:300px; background-color:teal; } #different { position:fixed; background-color:wheat; width:350px; } 이렇게 하면 스클롤을 내렸을시 화면상에 wheat박스는 그대로 고정되있는다. #different { top:5px; position:fixed; background-color:wheat; width:350px; } 이렇게 하면 wheat박스는 teal 박스 위로 가게 된다. 레이어가 구분되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개요: 필자가 클론코딩을 들으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3.8~3.11) inline border는 다 적용할 수 있으나 margin은 좌우만 적용할 수 있다. 또 padding은 사방 다 적용할 수 있다. CSH body { } span { background-color: aqua; padding: 20px; margin: 30px; } div { background-color: aqua; padding: 20px; margin: 30px; } hello hello 다음과 같다. class #tomao1, #tomao2{ background-color: red; } hello hello hello hello 이렇게 쓸 수 있지만 뭔가 지저분하고 간결하지가 않다. } .tomao{ background-co..

개요: 필자가 클론코딩을 들으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3-7) CSS : Cascading Style Sheet 브라우저가 위에 코드를 차례되로 읽는다. 즉 위에서 아래로 차근차근 코드를 읽는다. CSS 작성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CSH 무조건 head 안에 적어야 하며 첫번째 방법은 따로 만든 CSS 파일을 link를 통해 연결하고 rel= 다음과 같이 작성해주면 된다. 두번째는 html에 바로 style을 써서 해주는 방식이다. 보통 앞에껄 선호한다고 한다. h1 { color: blue; font-size: 20px; } aaaaaaaaaa The Nico Times 다음과 같이 style 안에 h1 태그를 가르치는 {}쳐서 다음과 같이 작성하다. 속성들은 되게 많은데 다 외울 필요없고 형식만..

개요: 필자가 코코아톡 클론코딩을 들으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HTML의 3가지 규칙 1. 첫번째 문에 작성 2. 태그 쓴다음 그 내용안에 작성 3. head 파트와 body 파트가 있다. head - 웹사이트의 환경 설정, 외부자가 볼 수 없는 환경(title 태그 했을시 페이지 이름 바뀜) body -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내용을 보여줌 DOCTYPE html> Home - My first website. hello Go to google.com Go to google.com - 부가적인 정보 부가적인 요소는 content 와 name, charset 가지고 있다. 이런 문법이 아니다. DOCTYPE html> Home - My first website name = description 이거는 브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