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코딩의 개발

[컴퓨터 네트워크] 11주차 본문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11주차

seung_ho_choi.s 2023. 12. 3. 20:32
728x90

11-1

 

설계시 고려해야할 사항 

- TCP/IP 환경에서 사용하는 호스트의 IP주소와 포트번호의 조합은 네트워크 계층과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표현 방식의 하나 

- 전송 계층의 주소를 보통 TSAP라고 한다. 

 

😊(6)멑티플렉싱

- 여러 신호를 하나의 통로를 통해 전송하거나 처리하는 기술이나 방법을 가리킵니다.

 

- 상방향하고 하방향 차이점은 상방향은 여러개를 통해서 하나로 오는거고 다시말해서 하나의 리소스를 공유한다. 예로 들면 여러 사람들이 영화를 본다. 다시말해서 공유해서 영화를 보는거고 하방향은 하나에서 여러개를 보내는 것이고 축구 중계를 예로 들면 화면과 음향을 따로 따로 해서 이것을 합쳐서 위성에 보내는데 이것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 것이다. 

 

연결 설정

- 간단하다. 전화를 걸기, 전화 수락, 그다음 말하기 이다.

 

- 정리해서 이렇다. 

 

연결해제 

 

일방적 연결 해제 절차 방식

 

- 통신하는 한쪽 프로세스가 일방적으로 연결 해제 요청인 Disc_Req를 전송해 연결 종료를 선언할 수 있음 

- 즉 상대 프로세스의 동의가 없어도 연결이 끊김 

 

점진적 연결 해제 절차 방식

 

- 하나의 연결에 2개의 단방향 연결을 지원하는 원통이 존재하는 것과 같음 

-  A프로세스의 데이터 전송과정 중에 B 프로세스의 연결 해제 요구가 발생해도 아래쪽 원통 기능만 정지하고 위쪽 원통은 여전히 정상 기능을 수행한다... 

- 그래서 두 프로세스 사이의 연결을 완전히 종료하려면 양쪽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단방향의 원통 기능을 명시적으로 정지해야 된다! 

 

😊(7)TCP 기능 및 구조 

 

특징

-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

- 양방향 가상회선을 제공

-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 

 

😊(8) 아래까지 TCP 헤더 구조 

 

- Source Port 하고 Destination Port 중요하다. 기억하자 포트!! 

- 추가로 Sequence Number(순서번호), Acknowledgement Number(응답번호), Data Offset(데이터 옵셋) 

 

TCP 헤더의 플래그 비트 

- SYN: 연결 설정 요구를 의미하는 플래그 비트이므로 가상 회선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 

- FIN: 한 쪽 프로세스에서 더는 전송할 데이터가 없어 연결을 종료하고 싶다는 의사 표시를 상대방에게 알리려고 사용 

- ACK: 데이터의 수신을 확인하는 역할

 

 

11-2

 

😊(9)혼잡 제어 

TCP 프로토콜에 추가된 ECN 기능은 라우터가 송신 프로세스에 명시적으로 혼잡 발생을 알려주어 송신 프로세스 스스로 트래픽을 완화하는 기술이다.  즉 ECN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CWR과 ECE 필드를 정의한다. 

 

CWR 

- ECE 비트를 수신한 송신 프로세스가 송신 윈도우 크기를 줄였음을 통지하는 것이 목적 

- 즉 더 이상의 ECE를 전송하지 말라는 의미 

 

ECE 

- ECN Echo로도 약칭 되며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아질때 라우터가 송신 프로세스에 명시적으로 혼잡을 알리려고 사용  

 

😊(10)DNS 

 

필요성

- 컴퓨터 보급이 늘면서 호스트의 수가 엄청나게 증가하면서 한 시스템에서 모든 호스트의 정보를 유지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즉 도메인 이름을 중복 사용하지 않도록 통제하기도 쉽지 않다. 즉 이건 살짝 이해가 안되는데 

- DNS는 숫자로 된 IP 주소보다 사용자가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웹 사이트 등에 쉽게 액세스 할 수 있다. 

- 계층적 구조로 전 세계 적으로 분산된 네임 서버를 통해 동작한다. 즉 전체 인터넷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확장 가능하게 만든다. 

- 자주 IP 주소를 변경하거나 재할당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적인 IP 주소에 대응하여 도메인 이름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정의

- 계층 구조를 지원하는 도메인 기반의 주소 표기 방법을 위한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기본 목적은 도메인 이름에서 IP 주소를 얻는것이다. 

 

네임 스페이스


-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는 계층적인 트리 구조를 지원한다. 

- 이때 네임 스페이스는 데이터에 대한 이름 관련 규칙을 정의한 것이다. 

 

 

1. 처음에 naver.com 이라고 입력을 한다. 그러면 로컬네임서버에서 이거에 관한 IP가 있니? 라고 물어본다. 

2. 첫번째 경우는 없을 때 네임스페이스의 트리 구조로 인해 계층의 위로 이동하면서 IP 주소를 얻어온다. 

3. 얻어왔으면 캐시 데이터 즉 로컬에 그 정보를 담고 해당 IP 주소로 이동한다. 

4. 두번째 경우는 있을 때 그냥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캐시 데이터를 통해 해당 IP 주소를 불러와 그 주소로 이동을 한다. 

 

인증데이터란

- 해당 데이터를 직접 관리할 책임이 있는 네임서버로부터 받은 정보를 의미 즉 도메인을 IP로 변경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말하며 

- 반면에 캐시 데이터는 이전 요청에 의해 호스트가 보관한 데이터이며 재사용할 목적으로 한동안 저장됨 

728x90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네트워크] 13주차  (0) 2023.12.04
[컴퓨터 네트워크] 12주차  (2) 2023.12.04
[컴퓨터 네트워크] 10주차  (1) 2023.12.03
[컴퓨터 네트워크] 9주차  (1) 2023.12.02
CH5 MAC 계층  (0) 2023.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