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컴퓨터공학 (28)
최코딩의 개발

개요: 필자가 클론코딩을 들으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3-7) CSS : Cascading Style Sheet 브라우저가 위에 코드를 차례되로 읽는다. 즉 위에서 아래로 차근차근 코드를 읽는다. CSS 작성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CSH 무조건 head 안에 적어야 하며 첫번째 방법은 따로 만든 CSS 파일을 link를 통해 연결하고 rel= 다음과 같이 작성해주면 된다. 두번째는 html에 바로 style을 써서 해주는 방식이다. 보통 앞에껄 선호한다고 한다. h1 { color: blue; font-size: 20px; } aaaaaaaaaa The Nico Times 다음과 같이 style 안에 h1 태그를 가르치는 {}쳐서 다음과 같이 작성하다. 속성들은 되게 많은데 다 외울 필요없고 형식만..

개요: 필자가 리눅스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pr을 하면 pr 단어를 찾아준다. n과N을 입력하면 다음위치나 뒤로 간다. %는 전체 s는 문자열 g는 행전체 적용을 뜻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작성하면 PR_로 바뀐다. 1,10까지 s타입으로 ;가 끝인 문자를 ;;로 바꾸겠다는 의미이다. \

개요: 필자가 리눅스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vi로 들어가 gedit hello.c &를 통해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vi를 통해 들어가봤다. tab이 8글자 차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과 같이 I를 통해 입력을 하였다. 다음과 같이 mv 명령어를 통해 helo.c로 내용 복사가 가능하다. 즉 이름 변경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캡처하기 번거로움이 있어 글로 작성했습니다. j: 밑으로 이동, k: 위로 이동, l: 오른쪽으로 이동, h: 왼쪽으로 이동 w: 단어 앞으로 이동, b: 단어 뒤로 이동 ^: 문장 줄 처음으로 이동, &: 문장 줄 뒤로 이동 H: 맨위로 이동, M: 중간 이동, L,G: 맨아래로 이동 :10 하면 10번째로 이동함 x: 하나씩 문자 삭제, dw: 단어 삭제 u:..

개요: 필자가 리눅스를 정리하면서 쓴 게시물이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통해 shell 디렉토리에 여러 파일을 복사했다. 추가로 자동완성은 esc*2 , tab*1 누르면 완성된다. 물음표가 하나의 문자로 되서 앞서 만들었던 1,2가 나온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통해 2개이상의 문자를 나오게 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w의 기능을 한번에 삭제했다. 추가로 history 쓴다음 커서를 올리면 이전에 했던 명령어가 자동완성된다!! 또한 !숫자 입력하면 이전에 해당하는 명령어가 나온다. 이거를 작성하면 괄호안에 문자가 하나 인식되면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이렇게도 가능하다.

개요: 필자가 리눅스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echo $SHELL을 통해 현재 쉘을 볼 수 있고 env를 통해 환경변수의 종류를 볼 수 있다. /bin/bash 의 정보를 볼 수있다. bin의 정보를 볼려 하는데 usr/bin으로 되있어 다시 검색해보겠다. bin의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다음 명령어를 통해 쉘의 사용법을 알 수 있다. 쉘을 설치해봤다. 다음 명령어를 통해 쉘의 종류를 확인했다. 일시적으로 바꿔서 쉘을 sh로 바꿨다. 다음과 같이 완벽히 바꾸는 못했다. 다음과 같이 sh를 종료해 다시 원래 쉘로 갈 수 있다. 고정적으로 하려면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이 작성하고 로그아웃하고 다시 들어오면 바뀌어진다.

개요: 필자가 학교 강의를 들으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다음과 같이 vi 디렉토리를 만들고 편집하기 위해서 vi hello.c를 실행한다. 입력을 하고 싶으면 I를 누른다. 또한 o를 누르면 한줄 띄어지고 I의 기능으로 이어진다. 이런식으로 작성했으면 나가야된다. 나가는 방법은 esc -> :w -> :q 순이다. 다음과 같이 작성되있는 것을 볼 수 있다. hello.c의 사용자 쓰기 기능을 지워봤다. 이때 w의 기능을 지워서 :w 의 저장이 안된다. 따라서 강제 저장할려면 :w! 느낌표를 붙여줘서 종료시키면된다. 다음과 같이 잘 저장되서 뜬다. q! 같은 경우는 기껏 파일에 다 썻는데 불필요한 내용이 있을 때 q! 누르면 저장이 안되고 강제 종료가 된다. 다음과 같이 :e 파일명 작성할 시 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