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지합니다
이 게시글은 메인 페이지에 항상 고정되어 표시됩니다.
지원과정 현재 대학생 4학년이고 이제 곧 졸업할 시즌이다...... 대학교 4년동안 의미없는 프로젝트만 만들어서 의미있는것 좀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해커톤에 나가고 싶었는데 올해 2월부터 구름톤 공고를 봤지만 맨날 시간이 안맞아서 지원을 못했다... 하지만 이번 10월!! 시간이 비워서 지원을 해보았다!!!자소서는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블로그 후기들을 보니깐 경쟁률이 어마어마 하다고 한다. 11기는 1대40....더군다나 나는 백엔드분야라서 다른 분야보다 더 빡셀것이다! 따라서 나는 간절하게 열정적이게 작성했다. 현재 취준중이라 이번기회는 전환점이 될거 같다! 이런식?? 4일동안 계속 이것만 쓴듯... ㅋㅋㅋㅋㅋㅋ 드디어 대망의 10월24일!!! 백엔드 빡세다 해서 안될줄 알고 초조해 하고 ..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스프링 OAUTH_2를 활용한 소셜로그인을 구현해보겠습니다! 개념먼저 개념에 대해 명확히 이해해보자 OAuth 란? Open Authorization으로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 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에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이다. OAuth2.0 란?OAuth2.0 서비스를 제공하고 Resource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즉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하여금 인증 서버에서 발급받은 Toekn을 넘겨 개인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우리 프로젝트 구조를 위 사진과 빗대어 설명을 해보겠다. 1. 먼저 사용자 즉 클라이언트는 네이버 및 카카오로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개요: 필자가 클론코딩을 공부하면서 정리한 게시물이다. position 레이아웃보다는 위치를 아주 조금 위로 오른쪽으로 옮기고 싶을 때 사용 fixed div { color:blue; width:300px; height:300px; background-color:teal; } #different { position:fixed; background-color:wheat; width:350px; } 이렇게 하면 스클롤을 내렸을시 화면상에 wheat박스는 그대로 고정되있는다. #different { top:5px; position:fixed; background-color:wheat; width:350px; } 이렇게 하면 wheat박스는 teal 박스 위로 가게 된다. 레이어가 구분되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