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지합니다
이 게시글은 메인 페이지에 항상 고정되어 표시됩니다.
개요: 필자가 람다와 스트림을 공부하면서 정리하기 위해 쓴 게시물이다. 참고로 구글링을 많이 참고했다. 람다식 정의 및 특징 - 클래스를 생성하지 않고 함수의 호출만으로 기능을 수행한다. - 함수를 하나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 메소드의 이름이 필요 없기 때문에 익명함수의 한종류라고 볼 수 있다. - 메소드 이름은 왜 없을까? :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함수를 변수처럼 선언하기 때문이다. - 람다식 내에서 사용되는 지역변수는 final 붙지 않아도 상수로 간주 된다. - 람다식으로 선언된 변수명은 다른 변수명과 중복되지 않는다. EX) (매개변수) -> {실행문} (x, y) -> (x >= y) ? x : y; 사용이유 - 불필요한 코드를 줄여주기 위함이다. - 가독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개요: 필자가 컬렉션프레임 워크 강의를 들으면서 너무 어렵고 헷갈리고 해서 정리하는 개념으로 쓰는 글이다. 구글링과 강의내용을 토대로 정리를 해보겠다. 컬렉션프레임 워크란? -(집합, 틀, 작업) - 직합의 틀로 만들어 잡업하는 것 배열을 사용하다 보면은 크기가 고정적이라 비효율적인 문제가 생긴다. 자바는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흔히 알려져있는 자료구조를 토대로 객체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것을 만들어 놓았다. - 프로그램 구현에 필요한 자료구조를 구현해 놓은 라이브러리다. - 여러 인터페이스와 구현 클래스 사용 방법을 이해해야 한다. -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자료화면은 다음과 같다. List 인터페이스 - 순서가 있는 자료 구조 - 중복이 허용된다. -이것에 대한 클래스는 Arr..
개요: 필자가 코딩을 하면서 출려과 다르게 입력은 어떻게 해야하나 궁금증이 생겨 발생한 개념 C언는 scanf, 파이썬은 input이 있는데 자바는 바로 이것이 있다!! Scanner 클래스는? 인터넷에서 찾아보고 정리해본 결과 이것은 자바에서 입력받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라고 한다. 그 외에도 입력하는 코딩도 많은 듯 하다. 이것은 정수 실수 문자열을 읽어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쓰는법은 간단하다. 1. util 패키지를 통해 import로 Scanner 클래스를 호출한다. 2. ex) Scanner s=new Scanner(System.in); 작성하여 Scanner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한다. 3. s 객체를 통해 본인이 문자열이나 정수등을 입력받고 싶으면 문자: int a = s.nextInt..
개요: 필자가 '화문수' 코딩을 하면서 막히는 부분이 있었다. C언어에서는 이 부분을 문자열을 배열로 해서 해결하면 되었지만 자바에서는 C언어와 다르게 String으로 문자열을 받아서 입력받았다. 즉 문자 하나를 반환해야 하는데 그 코딩을 잘 몰라서 구글링을 해본 결과 charAt라는 단어가 나왔다. charAt란 무엇일까? 직접 찾아서 정리해본 결과 이것은 String으로 저장된 문자열 중 한글자만 선택해서 char 타입으로 변환시켜주는 것이다. 이것의 형태와 예시는 다음과 같다. String a에 가나다라마바사를 저장하고 String b에 거꾸로 저장하기 위해 문자열을 하나씩 반환하면 된다. charAt() -> 괄호안에다 본인이 원하는 문자를 출력하고 싶을때 그 숫자를 넣으면 된다. 출력결과는 다음..
개요: 필자가 최근 제네릭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의문이 생긴 개념 바로 이녀석이다. 인터넷에 검색하고 직접 찾아봐서 정리한 결과 저 구문은 타입이 애매모호해서 Number 타입으로 저들을 불러와 double 형으로 무조건 바꾸라는 것이다. 인터넷에서 Number 클래스를 정리해봤는데 저 구문이랑은 살짝 다른것 같지만 정리를 해보겠다. Number 클래스는 추상클래스로 Wrapper 클래스랑 많이 연관이 있다. 저기서 Character, Boolean, void를 제외한 모두 Number 클래스에 상속된다고 한다. 즉 Numbr - Byte,Integer,Double,Short,Long,Float 가 포함된 구조다. 본인이 원하는 Value 값을 각각 intValue(), doubleValue() 등을 통해..
제네릭 프로그래밍이란..?? 변수의 선언이나 메서드의 매개변수를 하나의 참조 자료형이 아닌 여러자료형을 변환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하는 방식입니다. 오늘은 이것에 대한 예시문제를 풀고 해석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x,y 가 여러개의 자료형을 가질 수 있도록 T x, V y로 선언한다. 2. 그 후 Point 옆에 선언한다. 3. Point 클래스 인스턴스 두개의 점을 생성하기 위해 생성자 오버로딩 작업을 한다. 4. get 함수 set함수를 설정하여 외부로부터 나갈 준비를 한다. 1. static 메소드를 만들어 그 속에서 제네릭 메소드를 생성한다. 생성하는 방법은 위와 같다(솔직히 이부분은 그냥 공식인듯.. ) 1-1. static 메소드(makeRectangle)를 만드는 이유는 객체를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