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정 게시글

📢 공지합니다

이 게시글은 메인 페이지에 항상 고정되어 표시됩니다.

최코딩의 개발

AWS Route53을 이용하여 도메인 연결하기 본문

AWS

AWS Route53을 이용하여 도메인 연결하기

seung_ho_choi.s 2024. 8. 18. 03:04
728x90

이번시간에는 Route53을 이용하여 AWS에서 배포한 IP랑 실제 도메인을 연결해볼 것이다!

 

 

 

Route53 이란?

개념

AWS에서 제공하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웹서비스이다. 

 

활용

- 도메인을 등록하거나 기존 도메인을 관리할 수 있다. 

- DNS 레코드를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 Route 53은 높은 가용성과 복원력을 제공하며 AWS의 인프라를 통해 안정적인 DNS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전

 

먼저 AWS에 로그인을 한뒤 검색창에 route53을 입력한뒤 위 사진에서 표시된 것을 누른다! 

 

 

 

호스팅 영역으로 들어가서 호스팅 영역 생성버튼을 누른다.

 

 

위 사진과 같이 도메인 이름은 가비아 및 아이넴이즈 등에서 구입한 도메인을 입력한다!

그 후 퍼블릭 영역을 선택한 뒤 호스팅 영역 생성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위 사진과 같이 생성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보안때문에 가렸지만 4개의 주소가 보일것이다.  잘 기억하자!

레코드 생성 버튼을 누른다!

 

 

레코드 생성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뜨는데 빨간색 동그라미 친 공간에

본인이 생성한 인스턴스 퍼블릭 IP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필자는 아이넴이즈를 이용했다. 1년에 25000원! 근데 가비아는 1년에 15000원이라고 한다... ㅜㅜ

네임서버 정보변경에 들어와서 이전에 얻은 4개의 주소를 순차대로 입력을 하면 된다!!

 

그리고 1~2시간 기다리면 바로 연결이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728x90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로 AWS EC2 스프링 배포하기  (3) 2024.11.28
AWS & 깃허브 Continuous Deployment(CD) 설정  (0) 2024.08.19
AWS EC2 SSH 원격 접속  (0) 202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