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지합니다
이 게시글은 메인 페이지에 항상 고정되어 표시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AWS EC2 에서 배포한 서버를 SSH를 통해서 다른 IDE랑 원격접속 하는 방법을 알려주겠다.
AWS EC2로 배포한뒤 코드 내용을 보고싶을때가 많다.
하지만 일일히 직접 vi 로 편집기를 통해 봐야된다.... 엄청 불편
그래서 필자는 생각을 해봤다. 뭔가 IDE랑 연결할 수 있을거 같은데.. 말이다.
안하는거 추천... 엄청 느림.... 이걸로 할거면 그냥 vi로 편집기해서 하는거 추천...
File - Setting을 누르면 위 사진과 같이 나온다.
검색창에 project라 친뒤 본인 프로젝트에서 들어가서 Add Interpreter 버튼을 누른뒤 On SSH 를 누르자
참고로 SSH 원격 접속은 파이참 프로버전만 가능합니다!!
![]() |
![]() |
자 일단 먼저 AWS로 들어가서 본인이 연결하고 싶은 인스턴스로 들어갑니다.
그 후 오른쪽 사진과 같이 퍼블릭 IPv4 주소를 복사하여 위 Host에 넣습니다.
Username은 본인이 인스턴스를 만들때 생성한 이름을 넣으시면 됩니다. (거의다 ubuntu로 설정한듯!)
본인이 인스턴스를 생성할때 examplekey.pem 생성했을것이다!!!
그럼 그 키의 위치를 적용하면 된다.
Password는 인스턴스를 생성할때 그 비밀번호를 적용하면 될거 같다!
그럼 연결이 됐다고 뜬다!
그 후 위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create 버튼을 누르면 생성이 된다!!!
설정을 다했으면 위 사진과 같이 Tools - Start SSH Session을 누른다!
그럼 위와 같이 터미널이 바로 접속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는 프롬프트 창 키고 입력을 해야됐는데 말이다!
그럼 이젠 코드를 어떻게 볼까??
위 사진과 같이 Tools - Deployment - Browse Remote Host 순으로 누르면 연결이 된다!!
그럼 위 사진과 같이 연결이 된것을 볼 수 있고 우리가 기존에 배포한 파일을 볼 수 있다.
자 그럼 파일을 통해 코드를 볼 수 있고 그럼 코드 변경은???
위 사진과 같이 코드를 변경한 뒤 저 빨간색으로 표시된 아이콘을 누르면 자동으로 반영된다.
그 후 터미널에서
이렇게 해주면 바로 반영이 된다!!!
sudo journalctl -u feelbuddy -f
위와 같이 명령어 입력해주면 서버 로그를 볼 수 있다!!
어디서 오류났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어서 좋다!
다음 포스팅은 스프링 & 파이참으로 AWS 서버 배포하는법, CICD, 등을 포스팅 해봐야겠다!
도커로 AWS EC2 스프링 배포하기 (3) | 2024.11.28 |
---|---|
AWS & 깃허브 Continuous Deployment(CD) 설정 (0) | 2024.08.19 |
AWS Route53을 이용하여 도메인 연결하기 (0) | 2024.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