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코딩의 개발
CH3 네트워크 기술 익히기 본문
라우팅 기능
라우팅 시스템은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까지 올바른 경로로 중개하는 교환 기능을 제공
회선 교환 시스템
- 고정 대역으로 할당된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을 시
- 하나의 연결에 대하여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가 동일한 경로로 라우팅 됨
- 통신하고자 하는 호스트가 데이터를 전송하기전에 연결 경로를 미리 설정하는 방식
7😊프레임 릴레이
- 낭비 요소를 제거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 방식이 고안
- 동일한 속도의 전송 매체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술이 이것임
- 위와 같이 2가지 방법의 차이점은 패킷 교환망은 각 교환망마다 이동할 때 마다 하위 교환망에게 긍정 응답을 보내야 되지만 프레임 릴레이망은 수신호스트에 도착했을 때 한번에 보내기 때문에 더욱더 효율적이다.
패킷 교환 시스템
- 데이터를 미리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므로 패킷을 기준으로 라우팅이 이루어짐
- 가상 회선 방식과 데이터 그램 방식이 있음
- 전송 대역의 효율적 이용, 호스트의 무제한 수, 패킷에 우선순위 부여
가상회선
- 일반적으로 가상 회선 방식은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으로, 미리 설정된 논리적인 연결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경로가 동일
데이터그램
- 패킷 교환 방식에서 비연결형 서비스를 이용해 패킷을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것
라우팅 시스템
- 전용 회선 방식은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전용으로 할당된 통신 선로로 데이터를 전송 즉 같은 kt
- 교환 회선 방식에서는 전송 선로 하나를 다수의 호스트가 공유 즉 다른 kt skt
- 교환 회선 방식에서는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방식이 있다.
네트워크 분류
LAN
- 단일 건물이나 학교 같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호스트로 구성된 네트워크
- LAN은 MAN이나 WAN 환경보다 호스트 간의 간격이 가깝기 때문에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
- 이때 브로드캐스팅 방식은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전송되는 방식을 의미함
- 호스트를 연결하는 방식은 구성 형태에 따라 버스형, 링형으로 구분
버스형
- 공유 버스 하나에 여러 호스트를 직접 연결
- 전송데이터가 모든 호스트에 브로드캐스팅 되므로 라우팅 기능이 필요없음
-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충돌이 발생함
- 이더넷은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허용하는 대신 충돌 후에 문제를 해결하는 사후 해결 방식에 해당
링형
인터네트워킹


- 라우팅 테이블은 LAN이 동작하면서 자동으로 생성
- 데이터 전달과정에서 얻은 프레임의 송신 호스트 주소와 포트 번호의 정보를 라우팅 테이블에 반영
- 플러딩은 브리지의 장치가 켜지면 데이터 패킷을 포트를 통해 네트워크에 무작위로 전파하여 라우터에 접속되어있는
목적지를 찾으며 라우팅 테이블을 만든다. 이때 네트워크 동작과정에서 라우팅 정보를 얻는 방식을 역방향 학습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스패닝 트리
- 네트워크에 이중 경로가 존재하면 잘못된 라우팅 정보를 얻게 됨
- 네트워크의 설계 과정에서 순환 구조가 불가피하게 만들어지면 네트워크의 논리적인 연결 상태를 비순환 형태로
간주함으로써 역방향 학습 알고리즘이 올바르게 동작하도록 해야함
- 즉 비순환 구조를 스패닝 트리라 하며 이를 지원하는 알고리즘을 스패닝 알고리즘이라고 함
소스 라우팅 브리지
- 트렌스페런트 브리지는 공유 버스에서 구현되는 CSMA/CD 방식과 토큰 버스 방식에서 사용
- 링 구조의 네트워크에서 사용
- 간단하지만 효율적이지 못함
인터넷 라우팅
고정 경로 배정
- 간단한 구현만으로도 효과적인 라우팅이 가능한 방법이며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 고정불변의 경로를 배정
- 트래픽 변화에 따른 동적 경로 배정이 불가능함
9😊적응 경로 배정
- 위 방법에서 라우팅 테이블의 경로 정보 변경은 네트워크 구성이 변경된 경우에만 가능
- 특정 네트워크나 라우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않은 경우
- 네트워크의 특정 위치에서 혼잡이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네트워크] 9주차 (1) | 2023.12.02 |
---|---|
CH5 MAC 계층 (0) | 2023.10.18 |
CH4 데이터 전송 (1) | 2023.10.16 |
CH2 네트워크 개념 (1) | 2023.10.14 |
CH1 네트워크 기초 다지기 (0) | 2023.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