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코딩의 개발
CH2 네트워크 개념 본문
계층적 모듈 구조
모듈화
- 다음과 같이 시스템 모듈화를 하면 손쉽게 개선이 가능하다.
프로토콜 설계 시 고려 사항
- 네트워크의 오류 제어 기능은 오류의 발생 사실을 인지하는 것이 먼저이고, 이후에 송신 호스트가 재전송 기능을 이용한 오류 복구 절차가 이어짐
흐름 제어
- 수신 호스트의 버퍼 처리 속도보다 송신 호스트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가 빠르면 논리적인 데이터 분실 오류가 발생함
- 이때 수신 호스트가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미처 처리하지 못한 상태에서 새로운 데이터가 수신되어 일시적으로 저장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송신 호스트의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흐름 제어기능이 필요하다.
4😊서비스 프리미티브
- 프로토콜은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하위 계층이 상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동작
- 계층 구조 프로토콜에서 하위 계층이 상위 계층에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에는 연결형과 비연결형이 있다.
-- 연결형은 신뢰성이 있고 상대가 받았는지 확인한다.
-- 비연결형은 신뢰성이 없고 상대가 받았는지 신경 안쓰고 주로 대용량 처리할때 쓰인다.
- 통신 프로토콜에서 프리미티브를 올바르게 수행하려면 4가지 기능을 기억해야한다.
![]() |
![]() |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OSI 7계층 모델

5😊계층별 기능
물리 계층
- OSI 7계층 모델의 맨 밑에 위치하는 물리 계층은 전송 매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관한 사항을 기술
- 전송 매체에서는 개별 정보의 비트 교환 문제를 다룸
전송 단위: 비트
장비: 케이블 종류, 허브, 리피터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물리적 전송 오류기능 해결 및 흐름제어 기능도 수행
- 데이터 링크 계층을 이용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프레임이라 부름
전송단위: 프레임
장비: 브리지
프로토콜: 이더넷 (MAC 주소)
- 중개 기능을 담당함(라우팅)
전송 계층
- 통신 양단에 있는 전송 연결의 주체(프로세스) 사이에 종단 연결을 제공
- 호스트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사이에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전송 계층
- 순서제어, 오류제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연결 지향적 즉 프로세스 간에 신뢰적인 연결 지향성 서비스를 제공함
- 단대단 통신 기능을 제공
전송단위: 세그먼트
프로토콜: TCP/UDP
장비: 게이트
세션 계층
- 전송 계층과 거의 유사
- 일시적인 전송 장애를 해결하기 위해 동기 기능 등을 제공
표현 계층
- 데이터의 의미와 표현 방법을 처리
응용 계층
- 응용 환경에서 필요한 기능을 다룸
인터넷 모델
- 인터넷에 연결하고자 하는 호스트는 반드시 IP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하며, 전송 계층은 TCP나 UDP를 사용, 현재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하는 IP 프로토콜은 버전4
6😊프로토콜 계층 구조
ARP/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al)
- 인터넷 모델에서 사용하는 주소
-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수신 호스트의 IP 주소를 이용해 MAC 주소를 구하는 기능이 필요한데, ARP가 이 기능을 담당
-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RARP가 담당
ICMP
-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인 IP가 동작하는 과정에서는 전송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
- 오류가 발생하면 반드시 송신자에게 회신해 복구 작업을 하게 해야 하는데, 이 작업은 ICMP가 담당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네트워크] 9주차 (1) | 2023.12.02 |
---|---|
CH5 MAC 계층 (0) | 2023.10.18 |
CH4 데이터 전송 (1) | 2023.10.16 |
CH3 네트워크 기술 익히기 (1) | 2023.10.15 |
CH1 네트워크 기초 다지기 (0) | 2023.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