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코딩의 개발
작업 프로세스 제어 본문
개요: 필자가 너무 늦게 올렸다. 원래 view 다음이다.!!

tty – 현재 터미널과 연결된 장치 파일명을 출력
ps – 실행중인 프로세스 목록 보기
ps u – 현재 사용자의 모든 프로세스를 사용자 ID와 함께 보기
ps a – 모든 사용자 프로세스 보기(시스템에 로그인한 모든 사용자

kill은 신호(signal) 명령어이다. pid를 통해 kill PID 하면 그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signal은 기본적인 유형의 프로세스간의 통신메커니즘이며 메시지와 유사하다.

다음은 시그널의 종류이다.

sigkill과 sigstop 기억하자.

한쪽 터미널 지우는 방법이다.


포그라운드로 돌려줬고 ;나 ll는 or 즉 앞에게 거짓이거나 참이라도 뒤에는 실행되고 반대도 가능하다. 하지만

&&는 앞에것이 거짓이면 뒤에는 참이라도 실행이 안된다. 하지만 앞에꺼는 침이며 뒤에가 거짓이어도 앞에꺼는 실행된다.

첫 번째는 fg방법이다. 이때 멈추는 방법은 ctrl + z이다. 그 다음 bg로 실행 시키면 bg방법으로 간다. bg방법은 초기화를 &를 붙인다. 반대로 fg로 입력하면 다시 fg 방법으로 간다.
jobs –l을 하면 pid까지 나온다.

fg 강제종료 방법은 ctrl + c 이다.

tty에 대한 정확한 정보이다.

두 번째 터미널에서 작업했던 40분과 50분짜리를 첫 번째 터미널에서 보여줬다. ps 하면 현재 터미널 정보만 나와서 안보인다.

첫 번째 터미널에서 두 번째 터미널에서 설정한 40m 짜리를 종료시켰다. kill pid를 통해서
그리고 kill –9 50m pid를 했더니

두 번째 터미널에서 이렇게 뜬다.
ctrl + d 하면 쉘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저렇게 하면 컨드롤 d 했을 때 못나간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찾기 및 압축 (0) | 2023.06.09 |
---|---|
패턴찾기 메뉴얼 (2) | 2023.06.05 |
파일 자르기, 사용자 정보 (0) | 2023.05.29 |
리다이렉션(redirection)과 파이프라이닝(pipelining) (0) | 2023.05.20 |
복사디스크 사용정렬 (2) | 202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