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행 시작부터 실행 끝까지 프로세스 하나만을 사용해서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프로그램이 복잡해지고 프로세스 하나만을 사용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는 벅차게 되었습니다.
✔️ 스레드의 필요성
프로세스는 자신에게 할당된 메모리 내의 정보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약이 있어, 한 프로그램을 처리하기 위해 여러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프로세스와는 다른 더 작은 실행 단위 개념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 개념이 바로 스레드입니다.
✔️ 스레드의 정의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여러 흐름의 단위입니다.
프로세스의 특정한 수행 경로입니다.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의 단위입니다.
✔️ 스레드의 특징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각각 Stack만 따로 할당받고 Code, Data, Heap 영역은 공유합니다.
스레드는 한 프로세스 내에서 동작되는 여러 실행의 흐름으로, 프로세스 내의 주소 공간이나 자원들을 같은 프로세스 내에 스레드끼리 공유하면서 실행됩니다.
같은 프로세스 안에 있는 여러 스레드는 같은 힙 공간을 공유합니다. 반면에 프로세스는 다른 프로세스의 메모리에 직접 접근할 수 없습니다.
각각의 스레드는 별도의 레지스터와 스택을 갖고 있지만, 힙 메모리는 서로 읽고 쓸 수 있습니다.
한 스레드가 프로세스 자원을 변경하면, 다른 이웃 스레드도 그 변경 결과를 즉시 볼 수 있습니다.
☑️ 자바 스레드란?
✔️ 자바 스레드의 특징
일반 스레드와 거의 차이가 없으며 JVM이 운영체제의 역할을 합니다.
자바에는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고 스레드만 존재하며, 자바 스레드는 JVM에 의해 스케줄되는 실행 단위 코드 블록입니다.
자바에서 스레드 스케줄링은 전적으로 JVM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 JVM이 관리하는 스레드 정보
스레드가 몇 개 존재하는지
스레드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의 메모리 위치는 어디인지
스레드의 상태는 무엇인지
스레드 우선순위는 얼마인지
개발자는 자바 스레드로 작동할 스레드 코드를 작성하고 스레드 코드가 생명을 가지고 실행을 시작하도록 JVM에 요청하는 일만 합니다.
☑️ 멀티 프로세스와 멀티 스레드
✔️ 멀티 프로세스
멀티 프로세싱이란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프로세스로 구성하여 각 프로세스가 하나의 작업(태스크)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 ✔️ 장점
여러 개의 자식 프로세스 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면 그 자식 프로세스만 죽는 것 이상으로 다른 영향이 확산되지 않습니다.
✔️ ✔️ 단점
Context Switching에서의 오버헤드
Context Switching 과정에서 캐시 메모리 초기화 등 무거운 작업이 진행되고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등의 오버헤드가 발생합니다.
프로세스는 각각의 독립된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았기 때문에 프로세스 사이에서 공유하는 메모리가 없어, Context Switching이 발생하면 캐시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모두 리셋하고 다시 캐시 정보를 불러와야 합니다.
프로세스 사이의 어렵고 복잡한 통신 기법(IPC)
프로세스는 각각의 독립된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았기 때문에 하나의 프로그램에 속하는 프로세스들 사이의 변수를 공유할 수 없습니다.
예시
🎯 상황 설정: “집중해서 일하는 너”
네가 어떤 카페에서 한 과목 과제를 집중해서 하고 있어. 그런데…
☕ 컨텍스트 스위칭은 이런 상황이야:
갑자기 누가 와서 “이거 잠깐만 도와줄 수 있어?” 하고 다른 일 시킴
그거 도와주고 다시 앉았는데, 아까 무슨 문제 풀고 있었는지 기억 안 남
자료 다시 찾고, 집중 다시 잡느라 시간 낭비
👉 이게 바로 컨텍스트 스위칭의 오버헤드야.
작업 바꾸는 데도 시간 들고, 다시 원래 작업으로 돌아가는 데도 또 시간 들지.
🔁 그게 반복되면?
10분 동안 과제를 집중하면 효율 좋은데
1분마다 친구들이 와서 부탁하면 결국 실제 과제 시간은 거의 없음
→ 프로세스가 너무 자주 바뀌면 CPU도 실제 일을 못 하고 갈아끼우는 데만 시간 씀
✅ 그래서 왜 문제가 되냐면?
스레드나 프로세스가 너무 많으면 자주 바뀌어서 효율 ↓
특히 실시간 응답이 중요한 서비스(예: 게임, 영상 스트리밍)는 한 번의 지연도 민감해
현실 상황
컴퓨터에서의 상황
너가 과제하다가 계속 끊김
CPU가 한 작업 하다가 다른 작업으로 계속 바뀜
과제 자료 다시 찾고 집중해야 함
레지스터/캐시 다시 로딩해야 함
집중력 분산 → 시간 낭비
컨텍스트 스위칭 오버헤드 발생
참고: Context Switching이란? 한 Task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여러 작업을 번갈아가며 실행해서 동시에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 멀티 스레드
멀티 스레딩이란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스레드로 구성하고 각 스레드로 하여금 하나의 작업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 ✔️ 특징
윈도우, 리눅스 등 많은 운영체제들이 멀티 프로세싱을 지원하고 있지만 멀티 스레딩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웹 서버는 대표적인 멀티 스레드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 ✔️ 장점
시스템 자원 소모 감소 (자원의 효율성 증대)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자원을 할당하는 시스템 콜이 줄어들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처리량 증가 (처리 비용 감소)
스레드 간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간단해지고 시스템 자원 소모가 줄어들게 됩니다.
스레드 사이의 작업량이 작아 Context Switching이 빠릅니다.
간단한 통신 방법으로 인한 프로그램 응답 시간 단축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의 Stack 영역을 제외한 모든 메모리를 공유하기 때문에 통신의 부담이 적습니다.
✔️ ✔️ 단점
주의 깊은 설계가 필요합니다.
디버깅이 까다롭습니다.
단일 프로세스 시스템의 경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다른 프로세스에서 스레드를 제어할 수 없습니다. (즉, 프로세스 밖에서 스레드 각각을 제어할 수 없습니다.)
멀티 스레드의 경우 자원 공유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동기화 문제)
하나의 스레드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프로세스가 영향을 받습니다.
☑️ 교착상태(Deadlock)란?
✔️ 발생원인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한 번에 한 프로세스만 해당 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점유 대기(Hold and Wait): 할당된 자원을 가진 상태에서 다른 자원을 기다립니다.
비선점(No Preemption): 다른 프로세스가 자원의 사용을 끝낼 때까지 자원을 뺏을 수 없습니다.
순환대기(Circular Wait): 각 프로세스가 순환적으로 다음 프로세스가 요구하는 자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해결방법
예방: 4가지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되지 않도록 합니다.
회피: 알고리즘을 데드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
회복: 교착상태가 발생할 때, 해결합니다.
무시: 회복과정의 성능저하가 심하다면 그냥 무시합니다.
☑️ 프로세스, 프로그램, 스레드, 멀티프로세스, 멀티스레드를 회사 사무실에 비유
1. 프로그램 = 회사 업무 메뉴얼 📘
"보고서 작성하기", "회의 준비하기" 같은 업무 지침서
아직 아무도 시작 안 함 → =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프로그램
2. 프로세스 = 직원을 한 명 뽑아서 실제 업무 시키기 👨💻
지침서를 보고 한 직원이 보고서를 작성하기 시작
책상, 컴퓨터, 문서함(메모리 공간)까지 배정받음 → = 실행 중인 하나의 프로그램 (독립적 작업 공간 포함)
3. 스레드 = 그 직원이 동시에 하는 여러 작업들 🧠
한 손으론 키보드로 타이핑하면서,
다른 손으론 전화 받고,
눈으론 회의 시간 확인함 → = 같은 프로세스 안에서 병렬로 수행되는 작업 단위
4. 멀티프로세스 = 여러 직원이 같은 업무를 따로따로 수행 👥👥👥
보고서를 여러 명이 각각 따로 작성함
서로 다른 책상, 다른 문서함, 다른 컴퓨터 사용 → = 서로 영향을 안 줘서 안전함, 하지만 중간 중간 조율이 필요
5. 멀티스레드 = 한 직원이 여러 역할 동시에 수행 🧍♂️+💻📞📄
한 명이 메일도 쓰고, 회의도 준비하고, 계산도 함
하나의 공간에서 모든 작업이 공유됨 (하나의 문서함, 하나의 컴퓨터) → = 빠르지만, 한 작업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업무에도 영향 줄 수 있음